합성 얘기/조교

0. 조교를 하기 전 필요한 것

SukeyM 2023. 4. 5. 00:34

안녕하십니까.

이번 글은 본격적인 조교 강의에 들어가기 전 가벼운 몸풀기 단계입니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심장이 놀라지 않도록 심장과 먼 부분부터 천천히 물에 적셔주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조교할 때도 아니고 하기 전에 필요한 건 뭐야

 

라고 의문을 가지실 독자분들이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본편에 담기는 애매한 내용들이 좀 있기도 하고 그렇다고 버리자니 아까운 상황,

바로 이럴 때 쓰는 고사성어 중에는 '계륵' 이라는 표현이 있죠.

 

조교를 하기 전 어떠한 것들이 필요하길래 이런 글을 썼는가?

지금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교하기 전과 후에 귀를 한 번씩 씻자

 

'아니 시작부터 이게 뭔 말 같지도 않은 소리냐'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합성계에서 조교를 좀 했다 하는 사람들은 기본 소양으로 갖추고 있는 부분입니다.

 

귀 씻을 물을 대령하거라.

 

이는 우리 선조의 행동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습관 중 하나입니다.

과거 영조가 불길한 말을 들으면 바로 귀를 물로 씻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죠.

옛날의 일을 본받아 현대 기술로 합성을 한다는 건 어찌보면 '온고지신'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할 조교가 불길한 소리라고 단정지을 순 없으나, 소리매드를 듣지 않는 일반인들에게는 참으로 괴상한 소리로 들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우리의 귀가 합성된 소리들에만 잠식된다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질지도 모릅니다.

 

이 가요는 하이라이트에 대사나열이 더 찰지게 들어가면 좋을텐데..

 

꼭 귀를 Real water로 씻으라는 말은 아니고 소리매드에 익숙해진 귀를 합성되지 않은 가요나 클래식과 같은 물로 한 번씩 씻어주면 조교를 할 때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끝없는 수정을 귀찮아하지 말자

 

이건 조교를 하기 전에 가지면 좋은 마음가짐이며, 앞으로 나올 제 글을 읽을 때 몰입하기 좋을 수 있습니다.

진짜 최종본입니다.

 

이 부분은 꽤나 중요한 대목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저는 조교를 하면서 수정을 굉장히 많이 하는 편입니다.

어떤 발음이여도 '이건 음조절 했을 때 무조건 깔끔하게 나온다!' 라는 예상이 항상 적중하진 않습니다.

물론 조교를 많이 하다보면 적합한 발음과 부적합한 발음을 어느정도 구분할 수는 있지만 예외는 항상 있다는 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죠.

따라서 음조절을 끝낸 후에도 다시 발음 나열하던 프로그램으로 가서 고치고 다시 음조절을 할 자신이 있는지를 얘기하는 대목입니다.

본인이 '조교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못 들어줄만한 정도만 아니라면 상관 없다!' 라고 생각한다면 사실 제 글들에서 얻어갈 수 있는 건 많지 않을 겁니다.

 

 

 

 

이번에는 가벼운 몸풀기로 쓴 글이며 이후에 나올 글들의 스타일에 대한 예고와 같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쓸데없이 길고 실없는 얘기를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번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조교 관련해서 이런 부분이 궁금하다 싶은 내용을 댓글로 달아주시면 적극적으로 검토 후에 강좌로 제작될 수도 있습니다!)

'합성 얘기 > 조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조교 팁  (2) 2023.11.24